지적장애가 있는 아들이 살인사건의 범인으로 지목되다
극 중 도준(원빈 배우)은 지적장애가 있는 아들로 나오고, 김혜자 배우는 그런 도준의 엄마로 출연한다. 도준이 어느 날 술에 취해 귀가하던 중 한 여고생을 보게 되고 어둠 속에 날아온 돌이 자신의 발 앞에 떨어지는 것을 보고는 그대로 돌아가 집으로 가게 되지만, 다음날 아침 여고생은 몸이 반으로 접힌 채 옥상 난간에 걸터 져 발견이 되고 형사들은 도준을 살인 용의자로 지목하게 된다. 이후 도준의 지적 장애를 이용하여 형사들은 사건을 그대로 종결지으려 하고, 이를 그대로 볼 수 없는 엄마는 아들의 무죄를 증명하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봉준호 감독의 영화들은 기존 장르와 클리셰를 파괴하며 현재에 대한 본인의 비판적 요소를 가미한다. 국민엄마 김혜자와 말이 필요 없는 배우 원빈의 캐스팅으로 어떤 견해와 본인이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하게 될지 궁금했다.
엄마의 모성애
영화 초반에 벽에 오줌을 누는 도준에게 엄마가 약을 먹이는 장면이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약을 먹는 도준의 옆쪽으로 오줌 줄기가 땅을 타고 흐르는데 이는 마치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는 것과도 같은 묘사였다. 아무리 시간과 정성을 들여 간호해도 지적장애가 나아지지 않는 아들을 표현한 것은 아닐까. 도준에게 엄마의 모성애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았던 것 같다.
초반에 여고생 아정의 장례식에 가서 도준의 무죄를 주장하는 엄마의 모습이 나오게 되는데 계속해서 무죄를 주장하던 엄마는 따귀를 맞게 된다. 하지만 따귀를 맞고도 아무렇지 않은 표정으로 화장을 고치는 엄마의 모습에서 무언가 잘못되어가고 있는 모성애를 엿볼 수 있다.
극 초반에 경찰서에 끌려간 도준은 바보라는 말을 듣고는 흥분하게 되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여고생인 아정이 도준에게 바보라는 말을 했고 이성을 잃어버린 도준이 아정을 돌로 내려쳐 죽여버린 것이었다. 즉 엄마의 모성애는 언젠가부터 아들의 무죄를 주장하기보다는 아들이 저지른 행위를 덮을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어 버린 것이다.
도준의 살인사건을 목격한 고물상 주인은 아정의 원조교제 대상 중 한 명이었는데, 엄마는 아들의 살인 행각이 밝혀질 것이 두려워 고물상 주인을 직접 죽여버리고 방화까지 저지르게 된다.
자신의 자식을 지키기 위해 살인 방화를 일삼는 엄마의 모성애는 진정으로 순수한 것이 맞는 것일까?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모성애는 배타적이고 편협하며 맹목적이기까지 하다. 엄마에게 모진 말을 내뱉는 도준, 도준이 어릴 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주었던 엄마 사이의 관계는 순수한 모성애로 이루어진 관계라고는 보기 어려울 것이다.
알리바이를 위한 소재였던 '침'
극 중 엄마는 약재상을 운영하며 불법으로 침을 놓아주며 생계를 이어간다. 그녀에게 있어 유일한 돈벌이이자 재산이나 다름없는 침이 시간이 갈수록 이에 대한 의미도 퇴색된다. 이 침은 모성애가 본질이 흐려짐에 따라 의미가 점점 바뀌게 되는데 영화 중반에 도준이 어릴 때 엄마가 박카스에 농약을 타 자신을 죽이려 했다는 이야기를 하자 엄마는 경기를 일으키며 침통을 꺼내게 되는데 이때 침통은 엄마 자신을 치료하기 위한 도구로 보였다. 그리고 고물상 주인을 살해, 방화 후 떨어뜨렸던 침통을 관광버스에 오르기 전 도준이 엄마에게 돌려주는 장면에서는 엄마가 침통을 일부러 놓고 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의 아들을 위해 저지른 죄책감들을 현장에 두고 오듯이 침통을 두고 왔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결국 모든 것을 알고 있는 아들이 침통을 돌려줌으로써 그 모든 죄책감이 다시 엄마를 향해 돌아온 꼴이 되어버렸다. 영화의 마지막에 춤을 추는 사람들 사이에서 엄마는 자신의 허벅지에 침을 놓는다. 이 영화에서 '침'은 이렇게 줄거리의 전개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 것이 흥미로웠다.
결국 엄마는 다운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종팔에게 모든 누명을 덮어씌우고 그에게 엄마 없어?라고 묻는 장면이 나온다. 질문 이후 엄마는 한없이 눈물을 흘리는데 이 부분에서 참 마음이 복잡했다. 엔딩 크레디트에 보면 극 중 김혜자에게 이름은 없었다. 단지 마더라고만 나온다. 엄마는 정말 말 그대로 엄마일 뿐이라는 감독의 해석인 것일까? 변질되어 가고 순수함을 잃어가는 모성애 앞에 이름은 중요하지 않다는 감독의 생각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
'볼거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설 연휴 특선영화 시간표 총정리 (0) | 2023.01.20 |
---|---|
끝까지 간다 리뷰 나쁜놈 위에 더나쁜놈 (0) | 2023.01.12 |
꾼 리뷰 아무도 믿지 마라 (0) | 2023.01.10 |
이끼 리뷰 제목만큼이나 축축한 영화 (0) | 2023.01.09 |
범죄와의 전쟁 리뷰 풍문으로 들었소 (0) | 2023.01.08 |
댓글